- 세계 최초로 공사가 자체개발한 ‘UAM용 지상대체항법시스템’첫선
한국공항공사(사장직무대행 이정기)는 26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드론쇼코리아(DSK) 2025’에 참가해 드론교통관리체계(UTM: Unmanned Aircraft Systems Traffic Management)에 대한 기술력을 알린다.
공사는 이번 행사에서 세계 최초로 자체개발한 ‘UAM용 지상대체항법시스템’의 첫선을 보이는데, 이는 도심항공교통(UAM)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정확한 항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공사는 항공기 착륙을 지원하는 계기착륙시설의 원리를 이용해 '24년 12월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으며, 27일‘드론상업화 컨퍼런스’에서 시스템 작동원리와 우수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공사는 이외에도 공항 주변 드론 비행을 관리하는 드론교통관리시스템(UTM), 불법드론대응시스템, 항행시설 점검용 드론을 소개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경쟁 우위의 기술을 선보일 계획이다.
‘드론쇼코리아(DSK) 2025’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국방부, 우주항공청, 부산시가 공동주최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전시회로 올해는 미국, 독일 등 해외 유수 기업 66개사를 포함한 총 306개 기업이 참가해 드론 관련 기술을 공유하고 전시관, 글로벌 컨퍼런스, 수상드론 레이싱경기, 드론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박광호 건설기술본부장은“공사는 드론 활용 시스템 개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드론 시장 활성화를 지원하고, 실효성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전국공항 주변 드론교통관리체계와 미래항공교통체계 구축을 선도하겠다”라고 말했다.(끝)
(사진설명) 1. 부산 벡스코‘드론쇼코리아 2025’KAC전시관에서 관람객들이 공사가 자체개발한‘UAM용 지상항법시스템’을 관람하고 있다.
2. 부산 벡스코‘드론쇼코리아 2025’KAC전시관에서 관람객들이 항행시설 점검용 드론, 불법드론대응시스템 등을 둘러보고 있다.
출처: 한국공항공사 보도자료